과천시 안전도시 비전과 목표
비전 | 일상이 안전한 도시 과천 |
---|---|
목표 | ① 주민의 일상이 안전함, ② 지역사회 파트너쉽 강화, ③ 주민참여 기회확대 및 주민의 주도적 역할 강화, ④ 취약지표 집중관리, ⑤ 근거기반사업 개발․ 관리 시스템화 및 구성원 역량강화 |
![]() |
안전도시사업의 필요성
- ○ 안전도시(Safe Community)란 그 지역사회가 이미 완전하게 안전하다는 의미가 아니라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이 안전의식 향상과 사고로 인한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지속적이고 능동적으로 노력하는 도시를 의미함.
- ○ 일상생활 중 발생하는 사고와 이로 인한 손상은 개인에게 미치는 인적· 물적 피해와 함께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과 손실을 초래함.
- ○ 따라서 과천시민의 안전증진을 위해 지역사회와 함께 보다 체계적이며, 과학적 근거에 기반 하는 안전도시를 구현하기 위함.
추진경과
- * “어린이가 안전한 도시” 선포 : ‘08. 5월
- * 행안부 “한국형 안전도시”시범사업 선정 : ‘09. 12월
- * 전담부서 설치 : 생활안전지원과 안전도시팀 / ‘09. 12월
- * 안전도시만들기사업 시민설명회 : ‘10. 3월
- * 한국형 안전도시 시범사업 프로그램 운영완료 : ‘10.12월
- * 국제안전도시 공인 종합추진계획 수립 : ‘11. 2월
- * WHO 안전도시지원센터와 업무협약 체결 : 2011. 2월 ~ 지속추진
- * 국제안전도시 공인기준(6개기준)에 의한 프로그램 운영(1년차) : ‘11. 1 ~ 12월
- * 과천시 안전도시 조례제정 : ‘11. 3 ~ 7월, 국제학회 참석 : 9월
- * 과천시 손상감시체계 구축 및 중장기 지표설정 연구용역 추진 : ‘11. 4~10월
- * 안전도시 위원회 및 실무협의회 구성 및 운영 : ‘11. 11월
- * 국제안전도시 공인기준(7개기준)에 의한 프로그램 운영(2년차) : ‘12. 1~ 12월
- * 국제안전학교(청계초등학교) 사업추진(2년차) : ‘12. 1~12월
- * 국내안전도시 네트워크(현지실사, 워크숍, 공인식 등 참석) : ‘12. 2월 ~ 연중
- * 2013년 국제안전도시 공인(11월)
- * 2014년 안전도시사업의 중장기 발전방안 수립
- * 2016년 안전도시사업 지속추진, 지역사회네트워크 강화
- * 2017년 국제안전도시 정책평가 및 평가결과 환류
- * 2018년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신청
- ※ 안전도시사업 추진(2011~2018): 6개 분야 92개 사업<2018년>
- * 2019년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현지실사(5월)
- * 2019년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승인(8월)
- * 2019년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선포식(10월)
안전증진사업 분야
- ⓵ 자살예방사업 : 자살고위험군 사례관리 사업 등 8건
- ⓶ 교통안전사업 : 어린이교통안전교실 운영 등 14건
- ⓷ 낙상예방사업 : 노인건강교실 운영 등 6건
- ⓸ 범죄폭력예방사업 : 자율방범대 활성화 등 11건
- ⓹ 재난안전사업 : 어린이 안전축제 운영 등 5건
- ⓺ 지역안전사업 : 민관합동로드체킹 등 41건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선포식 사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