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비울
문원동 남쪽에 있는, 마을 이름이자 골짜기 이름이다.
울는 골짜기를 뜻하며, 제비는 좁음의 뜻을 지닌 것이다.
매봉골
제비울 동쪽에 있는 매봉산의 한 골짜기이다.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피물들을 적신다.
세골〔細谷〕
사이에 끼어 있는 골짜기라 해서 샛골이다.
한자식 이름 세곡(細谷)은 샛골을 세골로 보고, 그 세를 한자의 세(細)로 옮겨 나온 것이다.
사기막골
문원동의 구리안에서 청계산의 한 봉우리인 매봉으로 이어지는 골짜기이다.
사기막골은 이 골짜기에 있는 작은 마을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는데, 사기를 굽는 막이 옛날에 있었 데서 나온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배랭이골
별양동의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골짜기 가장 안쪽에 천주교 피정의 집인 성모 영보의 집이 있다.
불당골
과천 서울대공원 가장 위쪽(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옛날에 불당이 있어서 이 불당골이란 이름이 나왔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확실치 않다.
불당골이란 이름 중에는 산의 안쪽 골짜기란 뜻으로 붙여진 것이 적지 않다. 붇 불 부리 부루 등이 산을 뜻하기 때문이다.
붇+안+골=붇안골
붇안골〉부단골〉부당골(불당골)
뒷골(1)
과천 서울대공원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이름 그대로 뒤쪽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이다.
뒷골(2)
역시 막계동 과천 서울대공원 근처에 있는 골짜기이다.
청계산 정상에서 흐르는 물이 이 골짜기를 지나 소앞들을 거쳐 과천저수지로 들어간다.
산골
과천저수지의 근처 예술 공연장 뒤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이다.
골짜기를 따라 오르면 옥녀봉의 정상이다.
삼부골
주암동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이자, 그 곳에 있는 마을 이름이다.
담터골
주암동의 담터들 뒤쪽(남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이다.
담터란 이름은 둘러싸인 터의 뜻을 지닌다.
검단이골
주암동의 돌무께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골짜기가 열린 곳에 작은 저수지가 있다.
이 검단이골 가장 안쪽은 따로 산골이라고도 한다.